전체 글374 디젤엔진 EGR장치와 관리방법 (Exhaust Gas Recirculation)은 배기가스 저감 장치 중의 하나입니다. 작동원리는 배기가스 중에 완전연소가 되지 않고 남아 있는 오염물질을 다시 실린더에 넣어서 태워버리는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배기가스 양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기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오히려 문제을 많이 일으키는 장치입니다. 오늘은 EGR장치의 작동원리와 관리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EGR장치란 무엇인가? EGR(Exhaust Gas Recirculation)은 디젤 엔진에서 NOx를 줄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EGR은 배기가스 중 일부를 다시 엔진으로 보내서 남아 있는 NOx를 재 연소 시켜 공해를 줄이는 원리입니다. 일반적인 디젤 엔진에서 고온과 .. 자동차 2023. 6. 14. 터보엔진의 터보랙 극복방법 터보엔진에는 근본적인 구조에서 발생하는 터보랙이 있습니다. 터보랙은 막상 자동차에 높은 출력이 필요할 때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터보랙은 엔진의 회전수가 낮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 터보랙입니다. 그러나 많은 연구원과 자동차 제조사들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했습니다. 오늘은 터보랙이 무엇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터보엔진(Turbo Charger Engine)의 터보랙(Turbo Lag) 터보랙은 터보엔진 자동차에서 출발부터 저속구간에서 엔진의 회전수가 낮을 때 배기의 압력이 높지 않아서 터빈을 충분히 돌려주지 못할 경우 흡입기에 공기의 압축량이 낮아서 터보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현상입니다. 터보엔진은 엔진 배기의 압력으로 터빈을 돌리고 터빈.. 자동차 2023. 6. 13. 터보엔진 작동원리와 터보랙 터보엔진은 자연흡기 엔진에서 엔진의 사이즈 증가 없이 출력을 증가시킨 엔진입니다. 주로 고성능 자동차에 사용됩니다. 터보엔진이 자연흡기엔진과 비교해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그리고 작동원리는 무엇인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아울러 터보랙 현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터보장치와 함께 핵심장치가 인터쿨러 입니다. 터보 인터쿨러에 장치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미지를 참고바랍니다. 목차 1. 터보엔진 터보엔진(Turbo Engine)의 정확한 표현은 터보차저엔진(Turbo Changer Engine)입니다. 터보엔진의 개발 목적은 엔진의 용량 증가 없이 파워를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자동차 엔진의 파워는 기본적으로 연소실의 크기와 비례합니다. 연소실의 크기가 클수록 자동차의 파워는 늘어납니다... 자동차 2023. 6. 13. 자동차 커먼레일 디젤엔진 커먼레일 디젤엔진은 2000년대 초반부터 자동차에 적용되기 시작되었습니다. 20년간 디젤엔진의 대중화를 이끈 엔진기술입니다. 커먼레일 디젤엔진으로 인해서 디젤엔진의 효율이 향상되었으며, 연비가 획기적으로 좋아졌습니다. 그래서 최근까지 승용차에 적용될 정도로 폭넓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SUV 자동차에는 이 커먼레일 디젤엔진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오늘날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장치로 사용되는 시스템이 커먼레일 디젤엔진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커먼레인 디젤엔진 (CDRi : Common Rail Direct Injection) 커먼레일 시스템은 1990년대 중반 이탈리아의 회사인 Magneti Marelli과 독일의 보쉬(Bosch)가 공동 개발한 기술이고 이를 적용한 엔.. 자동차 2023. 6. 12. 자동차 디젤엔진 작동원리와 특징 디젤 엔진(Diesel Engine)은 불과 몇 년 전까지 인기가 많은 엔진이었습니다. 특유의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의 효율이 좋고, 저속에서 탁월한 토크 성능을 발휘합니다. 오늘은 디젤엔진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는 원리에 대해서 자세하게 포스팅하겠습니다. 목차 1. 자동차 디젤엔진 (Diesel Engine) 디젤 엔진은 내연기관의 한 종류입니다. 연료로는 경유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저속에서 높은 토크 성능을 발휘합니다. 그래서 특히 무거운 하중을 운반하는 버스나 트럭에 적합한 엔진입니다. 지금도 대부분의 버스나 트럭은 디젤엔진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디젤엔진의 가장 큰 단점은 진동과 소음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술 발전으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 자동차 2023. 6. 12. 자동차 자율주행단계 정의 요즘 자동차 자율주행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현재의 수준이 레벨 2이나, 내년부터 레벨 3 수준의 자동차가 출시된다 레이다가 필요하다 라이다가 필요하다 등등 이야기 말입니다. 자율주행도 여러 가지 단계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오늘은 단계별로 어떻게 정의되어 있으며, 현재의 수준은 어떤 수준이고, 향후에 자율주행을 위해서 필요한 기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자율주행 단계 정의 일반적으로 자율주행은 0부터 5까지 6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정의해서 자동차 제조사 부품사 소비자등이 혼동 없이 이해하기 위한 것입니다. 각 단계별로 사고가 발행할 경우 법적인 책임을 누가 가져갈 것인지에 대해서 향후 논쟁이 필요할 것입니다. 자율주행단계정의상세설명레벨 0운전 보조 없음운전자가 .. 자동차 2023. 6. 11. 이전 1 ··· 59 60 61 62 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