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이 발표되었습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과 재산세가 어떤 관계가 있냐구요? 아래로 내려서 설명을 참고 바랍니다. 아무튼 올해는 공정시장가액비율이 낮아져서 재산세도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가구당 평균 7만 2,000원 경감
1. 공정시장기액비율
재산세의 기초가 되는 가격은 '공시지가'를 기준합니다. '공시지가'를 100%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정시장가액비율' 만큼만 적용합니다. 그래서 세액의 기초가 되는 가격이 '공정시장가액비율'에 따라서 조정을 받습니다.
2. 공정시장가액 변화
2022년도에도 한시적으로 45%를 적용했습니다. 2023년에는 공시가격 3억 이하는 43%, 공시가격 3억 초과 6억 이하는 44%, 공시가격 6억 초과 45%를 적용 확정되었습니다. 고작 조금 내려갔다고 느껴실것 같은데, 작년대비 '공시지가'도 대폭 내려서(18.6%) 재산세 경감은 체감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 | 공시가격 3억 이하 | 3억~ 6억 | 6억초과 |
2022년 | 45% | 45% | 45% |
2023년 | 43% | 44% | 45% |
3. 주택재산세 계산하기
올해 재산세는 가구당 평균 7만 2,000월 경감이 예상됩니다. 재산세 계산은 아래 공식을 사용하여 가능합니다.
재산세 = 공시지가x공정시장가액비율x세율
+ 도시지역분 + 지역지원시설세
+ 지방교육세
아래글을 참조면 간단하게 계산가능합니다. 이전글을 참조 바랍니다.
주택 재산세 미리 계산하기
재산세는 1년분을 분할하여 2회로 나누어서 부과됩니다. 절반은 7월에 나머지 절반은 9월에 부과됩니다. 오늘은 다가올 7월과 9월에 부과되는 재산세가 얼마나 되는지 계산해 보겠습니다. 1. 재산
2nstory.tistory.com
댓글